맨위로가기

순천 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 도씨는 원나라 진사 도구원이 고려에 귀화하여 순천에 정착하면서 시작된 한국의 성씨이다. 순천을 본관으로 하며, 전라남도 순천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조선 시대 순천도호부로 전라좌도의 중심 역할을 하였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순천 지역의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에는 757명, 2015년에는 829명으로 인구가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순천 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順天 陶氏
로마자 표기Suncheon Do ssi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순천시
창시자도구원
역사
인물
기타 정보
시조
시조 (한자)陶球元
시조 설명은 진사였다.
통계
2015년 인구829명

2. 역사

순천 도씨(順天 陶氏) 시조(始祖) '''도구원'''(陶球元)은 (元)나라의 진사(進士)로서 1296년(고려 충렬왕(忠烈王) 22년) 원나라 공주였던 창국대장공주 익리해아(昌國大長公主 益里海雅)를 배행(陪行)해서 고려(高麗)에 내방(來訪)한 후 귀화하여 순천(順天)에 정착하였다.[4]

3. 본관

순천(順天)은 전라남도 동쪽에 위치한다. 본래 백제의 삽평군(歃平郡)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승평(昇平)으로 고쳤으며, 983년(고려 성종 2) 지명을 순주(順州)·자주(慈州)·은주(殷州)로 고치고 각 주마다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곤해군절도사(袞海軍節度使)가 파견되고, 1012년(현종 3) 안무사로 고쳤다가, 1036년(정종 2) 다시 승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 부유현(富有縣)·돌산현(突山縣)·여수현(麗水縣)·광양현(光陽縣)을 속현(屬縣)으로 거느렸다. 1309년 승주목(昇州牧)으로 승격하였다가 1310년 순천부(順天府)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 순천도호부로 승격하여, 조선시대 동안 전라좌도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5]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순천도호부 죽청(竹靑)과 별량(別良)의 성(姓)으로 도(陶)씨가 기록되어 있다.[5]

1896년 전라남도 순천군이 되었다. 1949년 순천읍과 도사면·해룡면의 일부가 순천시로 승격되었고, 종래의 순천군은 승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의 순천시가 되었다.

4. 분파

《조선씨족통보》에 의하면 도씨(陶氏)의 본관(本貫)은 순천(順天) · 풍양(豊壤) · 청주(淸州) · 유곡(楡谷) · 죽청(竹靑) · 경주(慶州) · 병양(兵陽) · 밀양(密陽) 등 10여 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순천 외의 관향(貫鄕)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진 바 없다.

5. 인물

5. 1. 과거 급제자

도국흥(陶國興, 1708년생)은 1728년(영조(英祖) 4년) 별시(別試) 무과 병과(丙科) 168위로 급제하였다.[6][7] 자는 덕겸(德謙)이며, 아버지는 유학(幼學) 도한명(陶翰鳴)이다.[7] 동생으로는 도국로(陶國輅)·도국상(陶國相)이 있다.[7]

5. 2. 현대 인물

6. 인구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순천 도씨는 217가구, 757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829명으로 증가했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순천도씨 順天陶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8
[4]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 순천 도씨 https://terms.naver.[...]
[5] 세종실록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순천도호부 http://sillok.histor[...]
[6]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도국흥 EXM_MU_6JOc_1728_004[...]
[7] 문서 『무신별시문무과방목(戊申別試文武科榜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